✅ 와이파이가 느린 이유, 공유기 위치 때문일 수 있습니다.
인터넷 속도가 느리거나 끊김 현상이 자주 발생할 때 대부분의 사람들은 “공유기가 오래돼서 그런가?”, “요금제를 올려야 하나?”라고 생각한다. 하지만 실제 현장에서 고객들을 만나보면, 문제의 원인은 다른 곳에 있는 경우가 많다. 바로 공유기의 설치 위치다.
와이파이 공유기는 단순히 선을 꽂는 기기가 아니라, 무선 전파를 집 안 전체에 뿌려주는 중계기 역할을 한다.
그런데 이 공유기를 좁은 공간, 벽 안, 가구 뒤, 신발장 속, TV 아래 같은 곳에 설치하면 무선 신호가 제대로 퍼지지 못해 속도와 연결 품질이 급격히 저하된다.
설치 기사로서 수백 건의 현장을 직접 다녀보며 느낀 건, 공유기 위치 하나만 바꿨을 뿐인데 속도가 2~5배 가까이 개선되는 사례가 아주 많다는 사실이다.
이 글에서는 그 이유와 함께, 어디에 공유기를 설치해야 가장 빠르고 안정적인 와이파이를 쓸 수 있는지 현실적인 기준으로 정리했다.
✅ 와이파이는 직진한다, 구조물에 막히면 속도도 막힌다.
와이파이는 눈에 보이지 않는 전파다. 이 전파는 직진 성질을 가지고 있어서, 물체나 벽, 전자기기 등에 부딪히면 반사되거나 흡수되며 신호가 약해진다. 따라서 공유기를 어디에 설치하느냐에 따라 전파가 퍼지는 범위와 강도가 결정된다.
예를 들어, 신발장 안이나 TV장 아래 같은 곳은 닫힌 구조로 되어 있어 신호가 빠져나가기 어렵다. 이런 위치에 공유기를 설치하면 바로 앞에서만 와이파이가 빠르고, 조금만 떨어지거나 방으로 들어가면 속도가 뚝 떨어지게 된다. 심한 경우에는 연결 자체가 끊기기도 한다.
또한 전자레인지, 냉장고, 세탁기, 컴퓨터 본체 같은 대형 전자기기 근처에 공유기를 설치하면 전자기 간섭이 발생해 와이파이 신호가 불안정해진다. 실제 현장에서 자주 보이는 문제 중 하나는 공유기를 멀티탭, 전자레인지 위, PC 본체 근처에 둔 고객들의 사례다. 이런 환경에서는 와이파이 속도가 정상이어도 체감 품질은 최악이 될 수 있다.
전파는 공간이 넓고 개방된 곳일수록 잘 퍼진다. 그렇기 때문에 공유기를 집 안의 중앙, 열린 공간, 높은 위치에 두는 것이 속도와 안정성 모두를 확보할 수 있는 핵심 포인트다.
✅ 방 구조에 따라 전파 손실이 달라진다.
와이파이 전파는 벽을 뚫고 지나갈 수는 있지만, 재질과 두께에 따라 감쇄율이 달라진다.
특히 철근 콘크리트 벽, 타일 벽, 유리문, 금속 문틀, 샤시 같은 구조물은 와이파이 신호를 대부분 흡수하거나 반사한다. 그래서 거실에 공유기를 두었는데 방에서는 신호가 약하거나 아예 잡히지 않는 현상이 발생하는 것이다.
고객의 집 구조에 따라 이런 문제는 더 심해지기도 한다.
예를 들어,
- 방이 3개 이상인 집에서 공유기를 한쪽 벽에 두면 반대편 방까지 신호가 도달하지 않는다.
- 복도식 구조이거나 ㄱ자 구조의 집은 전파가 구석까지 도달하는 데 한계가 있다.
- 반지하나 고층 주택은 전파가 벽에 부딪히는 빈도가 더 많아 손실이 크다.
이런 경우에는 다음과 같은 해결 방법이 필요하다:
- 공유기 위치를 집 중앙으로 옮기기 – 전체 커버리지를 고르게 만들 수 있다.
- 공유기를 높이 설치하기 – 가슴 높이 이상에 설치하면 전파 확산이 더 유리하다.
- 공유기의 안테나 방향을 수직/수평 교차로 설정하기 – 위아래로도 신호가 퍼지게 만들 수 있다.
- 음영지역이 존재할 경우 메시 와이파이 추가 설치 – 멀리 떨어진 방까지 신호를 안정적으로 전달
특히 신혼부부나 자녀가 있는 가정에서 방마다 스마트기기와 태블릿, 스마트TV를 동시에 사용하는 경우라면,
공유기의 위치 조정 하나로 인터넷 품질을 크게 개선할 수 있다.
✅ 설치기사가 추천하는 공유기 최적 위치
현장에서 실제 효과가 좋았던 공유기 설치 위치를 기준으로 3가지 유형으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① 거실 벽면 위쪽 선반 또는 벽걸이 고정 위치
- 벽 중앙에 위치해 집 전체로 전파가 퍼짐
- 장식장 속보다 훨씬 개방적이라 신호 손실 적음
- 스마트TV 근처라 IPTV도 안정적 연결 가능
② 집 구조 중앙, 허리~어깨 높이의 개방된 공간
- 방들과의 거리 균형이 잘 맞아 전파 균등 분포
- 장애물이 적고, 신호 반사 최소화
- 2.4GHz와 5GHz 모두 안정적으로 도달 가능
③ 메시 와이파이 시스템을 활용한 멀티 공유기 구성
- 방이 3개 이상이거나 면적이 넓은 집에 추천
- 메인 공유기는 거실 중앙, 서브 공유기는 멀리 떨어진 방에 설치
- 복잡한 설정 없이도 음영지역 제거 가능
📌 설치기사 현실 팁:
- “가구 뒤, 냉장고 옆, 콘센트 구석은 최악의 위치입니다.”
- “눈에 잘 보이는 자리가 오히려 와이파이에 가장 좋은 자리입니다.”
- “신호가 약할 땐 위치 먼저 바꿔보고, 그래도 안 되면 증폭기 고려하세요.”
그리고 공유기 위치를 바꾼 후에는 반드시 **속도 테스트(Fast.com 또는 Speedtest.net)**를 통해
이전과 비교해 속도와 반응속도가 얼마나 개선됐는지 확인하는 것이 좋다.
✅ 속도가 느리다면, 공유기 위치부터 바꾸세요.
와이파이 속도는 요금제나 공유기 성능만으로 결정되지 않는다.
공유기의 위치가 곧 품질이다.
📌 요약 정리:
- 장식장, 가구 속, 벽 구석은 피할 것
- 집 구조의 중심 + 개방된 공간 + 높은 위치가 이상적
- 위치 바꾸기만 해도 속도는 2~5배까지 개선될 수 있다
- 위치 변경 후에는 꼭 속도 테스트로 비교 확인하기
고가의 공유기를 써도 잘못된 위치에 설치하면 최저가 공유기보다 느릴 수 있다.
공유기 위치만 제대로 잡아도 인터넷 품질은 눈에 띄게 달라진다.
이제 내 공유기의 자리를 다시 확인해보자. 속도는 공간이 만든다.
'인터넷통신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터넷이 자주 끊길 때 점검 순서 – 설치 기사가 말하는 현실 솔루션 (0) | 2025.07.13 |
---|---|
인터넷 속도 측정 제대로 하는 법 – 일반 사용자 실수 TOP 3 (0) | 2025.07.13 |
SK브로드밴드 vs KT vs LGU+ 인터넷 품질 비교 – 설치 기사가 말하는 실사용자 기준 (0) | 2025.07.12 |
인터넷 약정 기간 끝났을 때 꼭 해야 할 3가지 – 놓치면 손해 보는 현실 팁 (0) | 2025.07.12 |
SKB 고객센터 전화보다 빠른 문제 해결법 – 설치 기사가 직접 알려주는 현실 꿀팁 (0) | 2025.07.12 |